건축낙서장

건축/건축가 4

카테고리 설명
건축가 소개
  • 네덜란드 구조주의 운동의 주역 " 아이크의 공간은 죽은 공간이 아니다. 죽어 있던 공간을 살려내고, 공간과 공간이 숨쉬게 만들었다. 아이들이 뛰노는 놀이터 역시 울타리에 갇혀 호흡을 하지 못하록 하지 말고, 다양한 상상을 하도록 해주는 게 우선이다. 어쩌면 그런 공간은 살아서 숨을 쉬는 ‘세포막’과 같다. " -미디어제주, “어린이에게 살아서 숨을 쉬는 세포막같은 공간을”, 김형훈 기자 연표 1918 네덜란드, 위트레후트 출생 1919 영국 이주 1942 스위스 이주 1946~1951 도시공공사업부 도시개발부서 근무 1954 *팀10 설립 1954~1959 암스테르담 건축아카데미에서 강의 1959~ 건축잡지 **포럼Forum 편집 1966~1984 델프트 공과대학 교수직 1990 RIBA 왕립 금메달 수..

  • 현대 디자인의 전형을 만든 역사적 건축가 " 매킨토시는 건축가이기 이전에 조형작가였다. 그는 건축 역사 밖의 건축가였다. 아르누보의 큰 흐름 속에서 그의 작품을 평가할 수도 있으나 그는 다른 건축들과 다른 자기 특유의 세계를 만들어냈다. " - 20세기 건축(김석철), 81p " 매킨토시의 건축은 다른, 그러나 좀 덜 이국적인 기원을 갖는다. 고딕 리바이벌 주류의 교육을 받은 그는 자연스럽게 탄탄한 기술적-장인적 접근에 친밀감이 있었다. 필립 웨브와 마찬가지로 그의 건축적 선조는 버터필드, 스트리트 등 세기 중반의 고딕 복고주의자들이었다. " - 현대 건축:비판적 해석(케네스 프램튼), 135p " 아이러니하게도 매킨토시는 독립 건축가로서의 이력을 글래스고 예술학교와 함께 시작해 끝냈다. 실질적인 활동 ..

  • 건축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한 20세기 건축의 진정한 지도자 " 20세기 건축에 있어서 발터 그로피우스만큼 큰 역사적 역할을 한 사람도 없고 평가가 엇갈리는 건축가도 드물다. 그는 20세기 디자인의 가장 큰 흐름인 바우하우스의 창시자이며 하버드 건축대학원이 현대 건축의 큰 흐름을 주도케 한 현대 건축의 리더였다. " - 20세기 건축(김석철), 123p " 20세기 건축은 천재를 좇다가 건축의 본류를 잃었다. 이제 도시설계는 토목기술자의 몫이고 도시의 미래는 행정가의 손에 맡겨져 있다. 그로피우스같이 사회 전반과 우리 시대의 하드웨어에 대해 설득할 수 있고 이끌어 갈 수 있는 대건축가가 나와야한다. " - 20세기 건축(김석철), 133p " 총체예술이라는 이상 아래 펼쳐진 무정부적 재정비를 정교하게 다듬..

  • 20세기 문명의 도시를 제안한 현대 건축의 선구자 " 오토 바그너는 위의 네가지 역할(건축자, 교육자, 지도자, 지식인)을 훌륭히 수행한 선구적 건축가-교육자였으며 빈 지식사회의 리더이자 빈 현대화 계획의 주역이었다. 1894년 바그너가 당시 젊은 세대들에게 인기 없던 빈 조형예술 아카데미가 되면서 쓴 근대 건축이라는 책은 수개국어로 번역되면서 신건축운동의 교과서가 되었다. " - 20세기 건축(김석철), 46p " 백년 전 빈은 세계 문명의 중심에 선 도시의 하나였다. 문명 중심의 도시에서는 모든 분야의 지식인들이 집합하고 교감한다. *비트겐슈타인, **프로이트, ***구스타프 말러 등 현대 문명 개화기의 천재들이 빈에서 동시에 활동하고 있었다. 빈의 지식인 사회는 19세기 말 문명의 지식적 실리콘밸리..